Core Searching - kim heejo

2017-2018

Core Searching

‘Semi-Circle & No.9’ Drawing Series
수행성과 반복의 미학

 
수행성과 반복의 미학
'Semi-Circle & No.9' 시리즈는 Schematic Medium의 초기작업으로, 반원의 형태와 숫자 9를 반복적으로 작업함으로써 나 자신을 포함한 인간 존재의 가능성과 현실적인 한계를 탐구하는 작품이다.

드로잉의 본질
선은 단순한 정적 요소가 아니라 공간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내재된 역동성을 지니고 있다. 선은 중심으로부터 확장하거나 분리의 느낌을 자아내며, 우아하게 곡선을 그리며 관람자를 그 길을 따라가도록 초대한다. 선은 과감하게 공간 속으로 돌출되어 전통적인 경계에 도전한다. 이러한 역동성은 인간의 경험과 감정을 시각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선은 기하학적 변형의 과정에서 형태를 탐구하고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볼륨이 있을 때, 선은 그것을 압축하거나 확장하고, 층층이 쌓아 형태를 만들어 낸다. 선은 뒤틀리고 접목되거나, 다른 선과 교차하여 복잡한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인간의 내면과 외면의 관계를 탐구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선의 조작은 현대 예술에서도 계속해서 탐구되고 있으며, 각 예술가는 자신의 독창적인 시각을 통해 선을 해석하고 있다.

수행성(Performavity)과 반복(Repetition)
'Semi-Circle & No.9' 시리즈는 반원의 형태를 통해 인간의 미완성과 한계를 표현한다. 원은 완벽함, 무한성, 그리고 전체성을 나타내는 상징으로서, 그 형태는 시작과 끝이 없이 계속 이어지는 영원한 순환을 의미한다​ (Symbol Sage)​​ (The Enlightenment Journey)​. 반면, 반원은 이러한 완전한 원의 일부로서, 완성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인간의 한계와 불완전성을 상징한다. 이는 우리가 자연과 우주와 같은 완벽함에 도달할 수 없음을 암시한다. 

또한, 숫자 9는 여러 문화에서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9는 한 자리 숫자 중 가장 큰 수로서,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한계를 나타낸다​ (Ancient Pages)​​ (The Symbolism)​. 이는 또한 완전성의 바로 직전 단계로, 인간의 한계와 유한성을 상징한다. 예를 들어, 고대 중국에서는 9를 천상의 숫자로 간주하였으며, 이는 최고로 완벽한 상태에 도달하기 전의 마지막 단계를 의미했다.
 이처럼 'Semi-Circle & No.9' 시리즈는 반원과 숫자 9를 통해 인간 존재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구하며, 우리에게 자연과 우주의 완전함과 비교되는 인간의 불완전한 상태를 상기시킨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나는 수행성과 실천의 과정을 강조하며, 작품이 단순한 시각적 표현을 넘어 깊은 철학적 의미를 지니게 한다.

Core Searching paintings


수행성과 탐구의 미학

Core Searching Paintings은 유화 물감과 붓을 사용해 흑백, 블루, 옐로우, 레드의 선과 사각형, 원, 삼각형 등의 기본적이고 단순한 형태를 통해 신체와 수행성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이 페인팅은 나의 신체적 행위와 수행적 과정을 강조하며, 예술 창작의 본질을 탐구한다. 작품은 관객에게 예술의 다양한 가능성과 해석을 제시하며, 그리는 행위 자체가 예술의 핵심임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Core Searching Paintings은 행위 자체에 집중함으로써 예술 창작의 시작점과 그 과정의 중요성을 새롭게 조명한다.

Core Searching Paintings의 개념적 접근

이 페인팅은 나의 신체적 탐구를 위한 시각적 수단으로서, 수행성과 행위의 결합된 창작 과정을 반영한다. 이는 추상 표현주의의 전통을 이어받아, 나의 감정과 생각이 자유롭게 표출되는 순간을 포착한다. 

신체적 창작
Core Searching Paintings은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창작되는 작품으로, 기본 요소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와 패턴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과정은 나의 의식적인 생각과 감정을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수행의 과정
페인팅은 반복적이고 수행적인 행위를 통해 완성되며, 이는 예술 창작이 특정 방향으로 제한되지 않고, 다차원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상징한다. 작품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관객에게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형태의 단순성
작품은 기본적이고 단순한 형태로 구성되지만, 이들이 조합되면서 다채로운 패턴과 시각적 리듬을 만들어낸다. 이는 최소한의 요소로 최대한의 표현을 이루려는 미적 시도를 반영한다. 

행위의 집중
그리는 행위 자체에 집중하며, 이러한 몰입의 상태가 작품에 고스란히 드러난다. 이는 행위 예술(Performance Art)과도 연결되며, 창작 과정이 곧 작품의 일부로서 의미를 가진다.

Core Searching Paintings은이러한신체와수행성의결합을통해예술창작의본질을탐구하며, 관객에게새로운시각적경험과철학적사유를제공한다. 이는단순한시각적표현을넘어, 깊은의미와감정을전달하는예술작품으로자리잡는다.

‘Color-Layered Line’ Drawing Series
신체와 수행성의 미학


'색선 드로잉'은 단순히 그리는 행위가 아니라, 일정 거리에서 움직이는 나의 손동작으로 생기는 색선들이 쌓여 기본적인 형태와 구조를 만드는 독특한 작업이다. 이 작품들은 선들이 얽히고 쌓여 기본적인 조형의 형태를 만들어낸다. 얇은 유화 물감과 유광 및 무광의 에나멜 물감의 층은 행위의 과정의 축적을 통해 힘을 전달하는 에너지의 결과물이다.

선들은 단순히 나열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얽히며 근본적인 조형이 된다. 이는 나의 정신과 신체가 직관적 감각을 만나는 지점에서 기본적인 색면으로 마무리된다.

나의 작업은 형태와 색채의 상호작용을 통해 깊이 있는 미학적 경험을 제공한다. 얇은 유화 물감과 유광/무광 에나멜 물감의 조화는 작품에 독특한 텍스처와 생동감을 부여한다.


재료의 상호작용과 획의 중요성
유화 물감의 섬세함과 에나멜의 질감은 각각 다른 시각적 효과를 제공한다. 이들이 함께 어우러지면서 독특한 미적 균형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작품에 깊이와 생동감을 더한다.
작품의 모든 획은 코어를 추구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기능한다. 각 선은 개별적이면서도 전체적으로 통합되어 작품의 에너지를 전달한다. 이는 작품이 지닌 생명력의 원천이 된다.

직관과 경험
'색선 드로잉'에서 나는 직관적인 감각기관을 통해 인간의 경험을 시각화한다. 이는 개인의 기억과 그 재현에 의해 살아 움직이는 선들의 집합으로 표현된다.  색선의 획 하나하나는 기억과 그 재현의 산물로, 시간의 흐름과 개인의 역사성을 담고 있다. 이러한 선들은 개별적인 경험을 담고 있으며, 동시에 보편적 인간 경험의 일부로서 관객과 공명한다.

감각과 기억
나는 경험에 기초하여 감각기관을 통해 본질과 핵심을 포착한다. 이는 지성과 영혼이 결합된 독특한 시각적 경험을 만들어내며, 관객이 작품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도록 유도한다.

'색선 드로잉'은 그 자체로 하나의 살아 있는 존재로서, 계속해서 변화하고 성장하는 과정의 일부로서 유기적 구조와 미적 균형을 통해 깊이 있는 철학적, 미학적 성찰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접근은 나의 예술적 비전과 창조적 열망을 나타내며, 작품을 통해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한다.